티스토리

이앤씨
검색하기

블로그 홈

이앤씨

chaenc.tistory.com/m

MOAYO 님의 블로그입니다.

구독자
0
방명록 방문하기
반응형

주요 글 목록

  • 암발파 설계요령 암발파 설계요령 건설교통부 발파설계의 개선방향 및 효과 (1) 설계단계에서 발파지점의 인근 지장물과 이격거리를 면밀하게 조사한 후 발파공해 의 허용기준치를 설정하고 설계발파진동 추정식에 의해 이격거리별로 6가지 TYPE의 표준발파패턴에 의거 설계를 실시한다. (2) 시공단계에서는 현장의 암반지질 및 지형조건등에 따라 발파진동 추정식이 변화되 므로 발파작업 착수전에 시험발파를 실시하여 현장에 적합한 현장 발파진동 추정식을 산출하고, 지발당장약량에 의거 표준발파패턴에 대한 적용이격거리를 보정하여 공사를 실시하므로써 무리한 설계변경등의 사항이 개선될 수 있다. (3) 또한 발파작업시에 천공장, 천공간격, 최소저항선, 장약량등의 상세한 발파패턴등 설계도면작성으로 감리․감독이 현장에서 체계적으로 감독할 수 있어,..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10. 25.
  • 비탈면배수시설설계기준(KDS 11 70 25 : 2016) 비탈면배수시설설계기준 KDS 11 70 25 : 2016 2016.06.30 국토교통부 지표수 배수시설 (1) 지표수 배수시설은 강우 시 비탈면 표면 또는 비탈면이 포함되는 계곡부를 통해 유입 되는 지표수를 신속하게 배수시킬 수 있도록 설계한다. (2) 비탈면의 세굴 및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10. 25.
  • 폐기물매립시설 검사관련 안정해석 프로그램 매뉴얼(2014) 폐기물매립시설 검사관련 안정해석 프로그램 매뉴얼 2014.10.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개요 ① 성토 또는 굴착에 의해 생성된 사면에 지하수위, 하중, 지진 등이 작용하게 되면 안정성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자중 및 외력에 의해 사면 내부에 전단응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것이 지반이 갖고 있는 전단강도보다 크게 되면 사면파괴가 발생한다. 이에, 사면에 대한 적절한 보강을 적용하기 위해 제안된 여러 가지 해석법을 이용하여 사면의 안정성을 수치적으로 검토하여야 한다. ② 사면안정 해석법으로는 한계평형이론에 의한 일체법과 절편법, 강소성론에 의한 극한 해석법, 탄소성이론에 의한 유한요소법 등이 있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10. 25.
  • 비탈면 내진설계기준(KDS 11 90 00 : 2020) 비탈면 내진설계기준 KDS 11 90 00 : 2020 2020.08.18. 국토교통부 목적 (1) 이 기준은 비탈면의 내진설계에 적용한다. (2) 이 기준의 목적은 지진에 의해 비탈면에서 발생 가능한 파괴와 그로 인해 주변구조물에 발생하는 피해 및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내진설계 요구조건을 규정하는데 있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10. 24.
  • 쌓기‧깎기 비탈면 설계기준(KDS 11 70 05 : 2020) 쌓기‧깎기 비탈면 설계기준 KDS 11 70 05 : 2020 2020.08.18. 국토교통부 목적 이 기준은 건설공사 시 만들어지는 비탈면과 비탈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보호, 보강 시설 등 일반적인 설계기준과 설계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10. 24.
  • 건설공사 비탈면 설계기준(2016) 건설공사 비탈면 설계기준 2016 국토교통부 목적 이 설계기준은 건설공사 시 만들어지는 비탈면과 비탈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보호, 보강 시설 등에 대한 일반적인 설계기준과 설계방법을 제시하며 개발과 보존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건설환경 조성 및 환경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건설을 바탕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녹색성장을 목적으로 한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10. 24.
    반응형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